결과

Landespokal Berlin 05/25 13:45 - RW 에센 v 오버하우젠 W 3-0
3부 리그 05/18 11:30 38 [19] 루벡 v RW 에센 [5] D 3-3
3부 리그 05/10 17:00 37 [4] RW 에센 v 1860 뮌헨 [14] L 0-1
3부 리그 05/04 14:30 36 [10] 산드하우센 v RW 에센 [4] L 2-0
3부 리그 04/28 11:30 35 [5] RW 에센 v 잉골슈타트 [10] W 4-0
3부 리그 04/24 17:00 31 [6] 자르브뤼켄 v RW 에센 [5] D 1-1
3부 리그 04/21 11:30 34 [16] 발트호프 만하임 07 v RW 에센 [8] W 0-2
3부 리그 04/14 14:30 33 [16]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v RW 에센 [7] D 1-1
Landespokal Berlin 04/10 17:30 - RW 에센 v 라팅겐 04/19 W 3-1
3부 리그 04/07 14:30 32 [7] RW 에센 v 뒤스부르크 [18] W 4-1
3부 리그 03/30 13:00 31 자르브뤼켄 v RW 에센 - PPT.
클럽 친선 경기 03/23 13:00 - RW 에센 v 베레스 리우네 W 3-1

Stats

 TotalHomeAway
Matches played 52 26 26
Wins 28 17 11
Draws 10 4 6
Losses 14 5 9
Goals for 109 59 50
Goals against 70 36 34
Clean sheets 14 8 6
Failed to score 9 4 5

로트바이스 에센(Rot-Weiss Essen)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도시인 에센의 축구 클럽으로, 현재 레기오날리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 팀의 최전성기는 1950년대로 1952-53 시즌 DFB-포칼에서는 5월 1일 뒤셀도르프의 라인슈타디온에서 열린 결승전에 올라 알레마니아 아헨을 2–1로 꺾고 우승했으며, 1954-55년 시즌에는 당시 서독과 자르 보호령의 1부 리그였던 오버리가 베스트에서 우승하며 분데스리가의 전신인 도이치 푸스볼마이스터샤프트에 진출해서 2조에서 4승 2무를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6월 26일에 하노버의 니더작센슈타디온에서 열린 결승에서 카이저슬라우테른을 만나 4–3으로 누르고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독일 챔피언이 되었다. 그 해 리그 우승으로 1955-56년 유러피언컵에도 참가했었다.

RW 에센(Rot-Weiss Essen)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에센에 위치한 축구팀으로, 1907년에 창단되었으며, 현재는 독일 축구 리그 시스템의 3부 리그인 3.리가에 속해 있습니다. RW 에센은 홈경기를 에센의 샤우인슬란트 아레나에서 치르고 있으며, 팀의 홈 유니폼 색상은 빨간색과 흰색입니다.

RW 에센은 부다페스트 태생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인 로베르트 파크시(Robert Pache)에 의해 1907년에 창단되었습니다. 파크시는 에센에 축구 클럽을 만들기 위해 지역의 몇몇 젊은이들과 함께 모였으며, 클럽의 이름을 로트바이스 에센(Rot-Weiss Essen)으로 지었습니다. 로트바이스는 독일어로 "빨간색과 흰색"을 의미합니다.

RW 에센은 창단 이후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독일 축구의 최강팀 중 하나였으며, 1927년과 1933년에 독일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습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RW 에센은 성적이 쇠퇴하여 1960년대에 2부 리그로 강등되었습니다. RW 에센은 1970년대에 1부 리그로 복귀했지만, 그 후로도 성적이 부진하여 1980년대에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습니다.

RW 에센은 1990년대에 1부 리그로 다시 복귀했지만, 그 후로도 성적이 부진하여 2000년대에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습니다. RW 에센은 2010년대에 3부 리그로 강등되었지만, 2020년대에 다시 2부 리그로 승격했습니다.

RW 에센은 독일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이며, 많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습니다. RW 에센의 역대 유명 선수로는 헤르베르트 부르덴스키(Herbert Burdenski), 헬무트 라이트만(Helmut Rahn), 우베 자일러(Uwe Seeler), 베른트 슈스터(Bernd Schuster), 마르쿠스 바벨(Markus Babbel) 등이 있습니다.